슬라이싱2 #4 문자열(Strings) 문자열(Strings)이란? 파이썬(Python)에서는 큰 따옴표(double quotes) 또는 작은 따옴표(single quotes) 안에 있는 문자들을 문자열이라고 합니다. 다시 말하자면, 파이썬은 문자나 문자열을 저장하기 위해서 따옴표(quotes)를 사용합니다. colab 노트북을 열고 같이 확인해 볼께요. 'hello'# 작은 따옴표로 선언된 문자열 # hello "My name is J-Builder"# 큰 따옴표로 선언된 문자열 # My name is J-Builder 만약 따옴표 안의 문자열에 따옴표를 표시하고 싶다면 역슬래시('\')를 같이 사용하면 됩니다. "I\'m awesome" # I'm awesome "\"Yes, that\'s it\"" # "Yes, that's it" 문자.. 2020. 9. 19. 파이썬(Python) 슬라이싱(slice) 이해하기 슬라이스(Slice)의 사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. 먼저 기본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죠. items[start:stop] # 리스트의 start 인덱스에서 stop-1 인덱스까지 슬라이싱 items[start:] # 리스트의 start 인덱스에서 리스트의 마지막까지 슬라이싱 items[:stop] # 리스트의 처음부터 stop-1 인덱스까지 슬라이싱 items[:] # 리스트 전체 아이템들 반환(복사본) 예제 코드를 같이한번 볼께요. items =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 items[2:5] # 인텍스 2에서 인덱스 5까지(인덱스 5는 제외) 슬라이싱 # [2, 3, 4] items[5:] # 인덱스 5에서 끝까지 슬라이싱 # [5, 6, 7, 8, 9, 10] ite.. 2020. 9. 8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