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파이썬/자주하는 질문20

파이썬(Python) 슬라이싱(slice) 이해하기 슬라이스(Slice)의 사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. 먼저 기본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죠. items[start:stop] # 리스트의 start 인덱스에서 stop-1 인덱스까지 슬라이싱 items[start:] # 리스트의 start 인덱스에서 리스트의 마지막까지 슬라이싱 items[:stop] # 리스트의 처음부터 stop-1 인덱스까지 슬라이싱 items[:] # 리스트 전체 아이템들 반환(복사본) 예제 코드를 같이한번 볼께요. items = [0, 1, 2, 3, 4, 5, 6, 7, 8, 9, 10] items[2:5] # 인텍스 2에서 인덱스 5까지(인덱스 5는 제외) 슬라이싱 # [2, 3, 4] items[5:] # 인덱스 5에서 끝까지 슬라이싱 # [5, 6, 7, 8, 9, 10] ite.. 2020. 9. 8.
파이썬(Python) 여러개 변수들 값 체크하기 여러개의 변수들 중에 원하는 값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. 만약 변수 x, y, z 가 아래와 같이 값이 할당 되어있을때, x = 1 y = 2 z = 3 값 2가 아래 변수들 중에 들어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가장 직관적인 방법은 x, y, z에 모두에 대해서 값 2가 맞는지 확인을하면 되죠. if x == 2 or y == 2 or z == 2: print('found') 조금 더 쉽게하려면 x, y, z를 튜플(tuple)에 넣어서 확인하면 되요. if 2 in (x, y, z): print('found') 또는 Set에 넣어서 확인 할 수 도 있어요. 검사할 변수의 수가 많다면 해싱(hashing)을 사용하는 Set을 사용하는것이 속도면에서 유리합니다. if 2 in {x, y, z}:.. 2020. 9. 8.